로컬에서 쓰기 괜찮다. 꽤 쓸만하다.
f:\Ollama>ollama run deepseek-r1:32b
pulling manifest
pulling 6150cb382311... 100% ▕████████████████████████████████████████████████████████████████████████████████████████▏ 19 GB
pulling 369ca498f347... 100% ▕████████████████████████████████████████████████████████████████████████████████████████▏ 387 B
pulling 6e4c38e1172f... 100% ▕████████████████████████████████████████████████████████████████████████████████████████▏ 1.1 KB
pulling f4d24e9138dd... 100% ▕████████████████████████████████████████████████████████████████████████████████████████▏ 148 B
pulling c7f3ea903b50... 100% ▕████████████████████████████████████████████████████████████████████████████████████████▏ 488 B
verifying sha256 digest
writing manifest
success
>>> 안녕?
<think>
Alright, the user greeted me with "안녕?" which means "Hello?" in Korean.
I should respond politely in Korean to match their greeting.
Maybe say "안녕하세요! 어떻게 도와드릴까요?" which means "Hello! How can I assist you?"
That should be friendly and helpful.
</think>
안녕하세요! 어떻게 도와드릴까요?
>>> 다음코드 분석해줘.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 net9.0-windows </TargetFramework> <OutputType> WinExe </Outpu
... tType> <UseWindowsForms> true </UseWindowsForms> <EnableWindowsTargeting> true </EnableWindowsTargeting> <Nullable> enable </Nullable> <ImplicitUsin
... gs> enable </ImplicitUsings> <!-- MSBuild 경로 설정 --> <CSharpCoreTargetsPath Condition="'$(CSharpCoreTargetsPath)' == ''">$(MSBuildExtensionsPath)
... \Microsoft\VisualStudio\v$(VisualStudioVersion)\CSharp\Microsoft.CSharp.Core.targets </CSharpCoreTargetsPath> <!-- Roslyn 컴파일러 설정 --> <UseRosl
... ynCompilers> true </UseRoslynCompilers> <RoslynTargetsPath>$(MSBuildExtensionsPath)\Microsoft\VisualStudio\Managed </RoslynTargetsPath> </PropertyGr
... 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CSharp" Version="4.7.0"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 Version="4.10.0.20241109"
...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Windows" Version="4.10.0.20241108" /> </ItemGroup> <!-- MSBuild 타깃 재정의 --> <Import Project="$(MSBuil
... dToolsPath)\Microsoft.CSharp.targets" Condition="Exists('$(MSBuildToolsPath)\Microsoft.CSharp.targets')" /> </Project>
<think>
Alright, I've got this project file here, and I need to analyze it step by step. Let me start by looking at the SDK specified. It says
Microsoft.NET.Sdk, which tells me that this is a .NET Core or later project.
Next, in the PropertyGroup section, there's TargetFramework set to net9.0-windows. That means the application is targeting .NET 9.0 specifically
for Windows. The OutputType is WinExe, so it's a Windows executable file, probably a GUI application.
Then I see UseWindowsForms set to true. Okay, that makes sense because it's a Windows app, and they're likely using Windows Forms for the UI.
EnableWindowsTargeting is also true, which further confirms that this is meant to run on Windows.
Nullable is enabled here, so the code will use nullable reference types, helping with better type safety. ImplicitUsings is set to enable as well,
which means the code can omit some using directives since they're automatically included based on the project settings.
Looking at the ItemGroup, there are three PackageReferences. Microsoft.CSharp version 4.7.0 is included, which provides support for C# features.
OpenCvSharp4 and its Windows counterpart are referenced with versions around 4.10.0, indicating that this project uses OpenCV for image processing
tasks.
Now, the MSBuild configurations: there's a condition set for CSharpCoreTargetsPath to point to a specific path if it's not already defined. This
might be necessary for building the project correctly within the Visual Studio environment.
The UseRoslynCompilers is true, meaning this project uses Roslyn, the .NET compiler platform, which allows for better code analysis and
refactoring. The RoslynTargetsPath is set to a managed folder in MSBuildExtensionsPath, pointing to where Roslyn's targets are located.
Finally, there's an Import statement bringing in Microsoft.CSharp.targets conditionally if it exists in the specified path. This ensures that the
necessary build rules for C# projects are applied during compilation.
Putting it all together, this is a .NET 9 Windows application using Windows Forms, OpenCV for image processing, with modern language features
enabled. The MSBuild configurations ensure compatibility and correct building within Visual Studio.
</think>
이 프로젝트 파일은 .NE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Windows용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각 설정 및 구성 요소에 대한 분석입니다:
### 1. **프로젝트 SDK**
```xml
<Project Sdk="Microsoft.NET.Sdk">
```
- 이 프로젝트는 `Microsoft.NET.Sdk`를 사용합니다.
- .NET Core 및 .NET 5+에서 사용되는 기본 SDK이며, C# 또는 VB.NET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 2. **프로퍼티 그룹**
```xml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9.0-windows</TargetFramework>
<OutputType>WinExe</OutputType>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EnableWindowsTargeting>true</EnableWindowsTargeting>
<Nullable>enable</Nullable>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
#### `<TargetFramework>net9.0-windows`
- 프로젝트는 .NET 9.0을 사용하며 Windows 운영 체제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net9.0-.windows`는 Windows-specific .NET 라이브러리를 포함합니다.
#### `<OutputType>WinExe`
- 이 프로젝트는 WindowsExecutable(.exe 파일)을 생성합니다.
- 즉, 이 프로젝트는 GUI 또는 콘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UseWindowsForms`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GUI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판단됩니다.
#### `<UseWindowsForms>true`
- Windows Forms UI를 사용하겠다고 선언합니다.
- 이 설정은 Windows Forms 컨트롤 및 라이브러리를 포함시킵니다.
#### `<EnableWindowsTargeting>true`
- Windows용 프레임워크를 활성화합니다.
- Windows-specific API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Nullable>enable`
- Nullable 참조 형식을 활성화합니다.
- 이는 C#에서 `?` nullable 표기를 사용하여 참조 형식이 null일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게 합니다.
#### `<ImplicitUsings>enable`
- 암묵적 using 문을 활성화합니다.
- 예를 들어, `System`, `System.Collections.Generic` 등의 using 문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이는 C# 8.0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코드를 더 깔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3. **MSBuild 경로 설정**
```xml
<CSharpCoreTargetsPath Condition="'$(CSharpCoreTargetsPath)' == ''">
$(MSBuildExtensionsPath)\Microsoft\VisualStudio\v$(VisualStudioVersion)\CSharp\Microsoft.CSharp.Core.targets
</CSharpCoreTargetsPath>
```
- 이 프로퍼티는 C# 컴파일러 및 빌드 설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MSBuild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 `Condition`은 이미 값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면 이 경로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 4. **Roslyn 컴파일러 설정**
```xml
<UseRoslynCompilers>true</UseRoslynCompilers>
<RoslynTargetsPath>$(MSBuildExtensionsPath)\Microsoft\VisualStudio\Managed</RoslynTargetsPath>
```
- Roslyn 컴파일러를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 Roslyn은 .NET의 오픈 소스 C# 및 Visual Basic 컴파일러입니다.
- `RoslynTargetsPath`는 Roslyn 컴파일러가 있는 경로를 지정합니다.
### 5. **패키지 참조**
```xml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CSharp" Version="4.7.0"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 Version="4.10.0.20241109"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Windows" Version="4.10.0.20241108" />
</ItemGroup>
```
####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CSharp" Version="4.7.0">`
- C# 언어 서비스 및 라이브러리를 포함합니다.
- 이 패키지는 .NET에서 C#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 기능을 제공합니다.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 Version="4.10.0.20241109">`
- OpenCV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封装입니다.
- OpenCV는 컴퓨터 비전 및 이미지 처리 작업에 사용되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Windows" Version="4.10.0.20241108">`
- Windows용 OpenCV 라이브러리를 포함합니다.
- 이 패키지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OpenCV를 사용할 때 필요한 종속성을 제공합니다.
### 6. **빌드 설정**
```xml
<BuildOptions>Unconfigured</BuildOptions>
```
- 빌드 옵션을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 기본값이 사용됩니다.
### 7. **MSBuild 파일 포함**
```xml
<Import Project="$(MSBuildExtensionPath)\Microsoft\VisualStudio\v$(VisualStudioVersion)\CSharp\Microsoft.CSharp.targets" />
```
- Visual Studio에서 C#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데 필요한 기본 설정을 포함합니다.
### 요약
이 프로젝트 파일은 Windows용 .NET 9.0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Roslyn 컴파일러와 OpenCV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이미지 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GUI 애플리
케이션입니다.
### 기타 주의 사항
- 이 프로젝트는 Windows에서만 실행됩니다.
- Null 참조 및 암묵적 using 문을 활성화하여 C# 코드를 더 깔끔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 OpenCV 라이브러리를 통해 이미지 처리, 비디오 분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나 특정 기능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알려주세요!
>>> Send a message (/? for help)
개발자 모임 전,

참고로 해결은 퍼플렉시티로 된다. 그래서 샘 울트먼이 퍼플렉시티 투자자의 돈 안 받겠다고 한 것.
&& 개발자 모임 이야기.
그리고 오늘 개발자 모임 장소, 어딘지 아시는 분은 참석하셔도 좋겠다.
딱히 코어 멤버도 아닌데, 대설 때문에, 주말 근무 때문에, 전날 갑자기 못 오신다는 분이 3명이라 2회 개발자 모임부터는 공지 안 하기로 했다. 사실 강의도 워낙 오래 해서 이런 류의 사유가 너무나도 지겹기도 하다. 솔직히 표면상으로는 다음에 보자는 여러 가지 의미의 말을 하지만, 내가 약속을 취소한 이유는 결혼식, 상갓집, 본인 혹은 아기, 가족/친지가 아파서 병원 입원 등 정도의 누가 들어도 고개를 끄덕여질 사유 밖에 없다. 그 외 이런 사유면 보통 난 그냥 늦잠 자서 혹은 까먹어서 등으로 답하고 만남을 이어가지 않는다. 오늘 네트워킹을 확장하여 모임을 이어 가기로 했다. 나도.
영양가
를 따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사람은 결국 이렇지라고. 삼성에서 한 자리 잡고 싶을 때나, 내가 있는 기업에 들어와야 할 때나, 높은 사람들 앞에서 내 기술이나 이름 이용해 먹을 때나 오고 싶은 자리지. 그게 안 될 것 같으면 굳이? 그래서 나도 진심으로 사람을 나누기로 했다. 누군 새벽에 일어나서 300킬로 넘는 거리를 오는 사람도 있고 매력이 철철 넘치는 사람도 있는데 굳이 내가?
내 주변 사람들이 수 년동안 정말 인정하기 싫지만 사람은 레벨이 있고, 급이 있다고 했는데. 비로소 나도 완벽히 인정하기로 했다. 다만, 이런 세속적 인간이 되어서도 하나 부끄럽지 않은 건.
이런 영상을 보면서도. 공감은 하지만 한편으로는 난 왜 고생이라고 생각하지라고 할 만큼, 누가 들어도 고생을 했다. 다만, 내가 원하는 공부였고, 그 누구보다 열심히 했고, 성과도 내고 결과도 좋았다. 그런 것 그냥 가져가고 싶은 사람들 때문에 사기당해서 40 넘어서도 1평 바퀴벌레 나오는 고시원에서 가족 걱정하며 와신상담하고 살았다. 인정을 못 받은 이유는 내가 손 벌릴 수 있는 성공한 친척들이 있어서였다. 관련해서는 언젠가 또 썰을 풀 날이 있겠지만. 코어 멤버들이 피치 못할 사정이 아니고서는 나와 약속을 깨지 않는 이유는 약속의 무게를 알기 때문이다.
굳이 말할 필요도 없지만, 따로 글을 쓰지 않고 여기 써 두는 것은. 전 날 취소의 경우 앞으로 안 와도 된다는 것과 앞으로는 약속을 할 때 생각을 하고 하라는 것과 그런 본인들과 맞는 사람들과 네트워킹을 하라고 말하고 싶다. 굳이 대중적이지 않아도 사람 모으는 건 쉬우니까. 삼성 내부고발 했을 때, 1급 지명수배자 잡았을 때, 유명 연예인이 친척일 때, 유명인과 편하게 보는 사이일 때... 쉽다. 지금 회사 자체가 미디어 아트라 엔터테인먼트 쪽에 있는 사람도 있으니 뭐 어렵겠는가? 모임도 가볍게 가도 좋겠지만, 올 해는 모임의 기틀을 다져야 하기 때문에. 사실, 코어가 필요해서 초반에는 내 기준이 높을 뿐이고. 어차피 사람도 많은 세상에서 굳이 어쭙잖은 핑계로 관계를 망치는 것보다는 변명도 없이 떠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진짜 떠나는 사람은 안녕이라는 인사도 안 한다. 나는 하지 않겠다. 다만, 비즈니스 관계에서는 영혼이 없어 보이면 동일한 인사라고 보면 되겠다. 다만, 다른 곳에서 좋은 사람들을 만나길 바란다. 같은 대한민국 사람이기도 하고. 그래도 성실히 살며 사기 치는 사람은 아니니 사정이 생기는 법이니까.
한 가지 확실한건 본인이 어떤 사람이던, 안 할 것 같으면 아예 시작도 하지 않는 게 좋다는 뜻이다. 100%는 아니지만 대부분 세상 살이의 법칙이다. 조폭 영화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발톱 함부로 드러내지 마라
하고 싶은 말은 간단하다.
志行萬里者, 不中道而輟足.
지행만리자, 부중도이철족.
만리 길을 가는 데에 뜻을 둔 사람은 중도에서 발길을 거두어들이지 않는다.
《삼국지·오서(三國志·吳書)》의 〈육손전(陸遜傳)〉에 나오는 말 - 전북일보 -
깍쟁이식으로 하면,
개발자 모임에서 예상치 못한 취소자가 발생하여 모임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에 모임의 지속 가능성과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앞으로 모임 운영 방식을 재정비하고자 합니다. 제가 운영했었던 과거 모임에서는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활발한 네트워킹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모임에서는 일부 참여자들의 잦은 취소로 인해 모임의 연속성이 저해되고,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참여자 자격 기준 강화: 모임의 목표와 취지에 맞는 참여자를 선별하기 위해 참여 기준을 강화하고, 기존 참여자들의 참여도를 평가하여 코어 멤버를 구성할 계획입니다.
모임 운영 방식 개선: 모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 공지 및 참여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다양한 활동 (강연, 토론, 프로젝트 등)을 통해 참여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예정입니다.
소통 채널 활성화: 모임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자 간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메신저, 게시판 등)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개발자 모임은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참여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모임 운영 방식 개선을 통해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모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HJH IT Lo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틱톡 가입 링크 틱톡 돈 벌기 (0) | 2025.02.10 |
---|---|
경험주의자 주말 계획과 이유 (0) | 2025.02.08 |
삶은 산처럼 무거우나, 죽음은 깃털처럼 가볍다. (0) | 2025.01.31 |
datas for AI (0) | 2025.01.30 |
Cursor end user license Agreement (0) | 2025.01.3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