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 WORDPRESS BOOK LINKEDIN PATENT Send Mail 동냥하기 hajunho.com

반응형

#집에서deepseek

결론만 말하면, 쓸 수 있지만 괜찮은 답변을 원하는 경우, Windows의 경우 RTX3090 그래픽 카드는 있어야 한다. MAC Pro Apple Silicon 64GB 메모리 이상 사용자들은 대부분 쓸 수 있다. Windows용 Ollama는 run 하는 순간 GPU 메모리를 계속 잡고 있지만, MAC의 경우 답변할 때만 메모리를 쓴다. 

질문하는 순간에 메모리 사용량이 올라간다.(32b모델 스샷)

답변이 끝나면 메모리 내려감
라마도 프롬프트 길게 들어갔는데

 만만찮게 들어간다. 일단 500자는 넘는다.

 


deepseek R1도 파라미터 개수에 따라 성능이 다른데, 1.5b나 7b 모델은 RTX3090까지 아니더라도 8GB 램만 되면, 왠만한 게임 그래픽 카드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70b 이상은 실행은 되지만 못 쓸 수준이다. 671b가 가능한 집은 평균적인 가정집은 아니다. RTX3090에서는 70b도 결국, 느려서 쓰기 힘들다. RTX3090 그래픽 카드 마련이 가능한 집 기준으로는 14b 모델이 적당하다. GPU메모리도 딱 14기가 바이트를 쓰니, 올라마 띄워두고 다른 작업 하기에 정말 좋다. 다음은 14b 모델에서 시를 써달라는 프롬프트의 실행 결과 전체 로그다. 이 질문 전에는 개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 시를 하나 써줘.

<think>

Alright, the user has been discussing technical aspects of .NET development and then asked for an interesting story. Now they're requesting a

poem. This shows they appreciate creative content beyond just stories.

I need to write a poem that ties into the themes we've been covering—programming, .NET, creativity. The poem should be simple yet meaningful,

perhaps touching on the balance between code and art or nature.

Thinking about structure, maybe four-line stanzas with a consistent rhyme scheme would work well. I'll incorporate elements like pixels, bytes,

wind, and fire to blend technology with natural imagery.

The goal is to make it both relatable to developers and aesthetically pleasing, showing that creativity knows no bounds even within technical

fields.

</think>

물론이죠! 이 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창의성에 대한 경외감을 담고 있습니다:

---

**《코딩 속으로》**

하얀 화면 위로

한 줄 한 줄, 꿈을 적어

창백한 픽셀들이 왈츠를 추며

밤새도록 빛난다

풍선은 무한히 크고

바람은 자유롭게 흐르네

비트들은 춤을 추며

불꽃처럼 밝아오르네

창문 너머로

별이 바라본다

인류의 광휘, 그 빛을

기술이 모아내고

한 줄의 코드는 창의의 끈이 되어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세상에 새로운 길을 열어젖힌다

---

이 시가 마음에 드시나요? �

>>> Send a message


 

이 글로 RTX3090 중고 가격이 방어가 되려나 모르겠다. 4090 회사에 있긴 하고 5090은 울 회사도 아직 못 구했다. 최근 IT 필드에 10년 넘게 있으면서도 AI를 안 하는 사람들은 GPU 메모리의 중요성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50 시리즈 사는 사람들이 내 그래픽 카드 보고, 뭐라뭐라 해서 기분이 좋지 않아 삘 받아 글을 쓰게 되었다.

 RTX3090과 다음 모델이 만나면 창업 아이템도 가능하다.

deepseek-r1:14b-qwen-distill-q8_0

 

32b 모델도 qwen-distill 이 좋다.

 

Fin.


 

본문은 끝났으나, 임팩트 있는 글도 아니고 블로그에 썼던 이전 내용도 조합하고 싶다. 브런치 글 내용이 너무 짧기도 하고 매거진끼리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IT 경험주의자에 쓰지 않고 여기 개발자를 위한 팁을 추가로 남긴다. gVIM 쓰는 사람이라면 ollama command 상에서도 Shift+J를 넣은 VIM 매크로 실행으로 커맨드를 만들기 쉬울 것이지만,올라마는 로컬 API로도 지원하기 때문에 그냥 my deepseek WEB으로 만들어 쓰면 된다.

https://ollama.com/blog/openai-compatibility

딥씨크 버전은 다음과 같이 많다. 1.5b, 7b, 8b, 14b, 32b, 70b, 671b, 1.5b-qwen-distill-fp16, 1.5b-qwen-distill-q4_K_M, 1.5b-qwen-distill-q8_0, 14b-qwen-distill-fp16, 14b-qwen-distill-q4_K_M, 14b-qwen-distill-q8_0, 32b-qwen-distill-fp16, 32b-qwen-distill-q4_K_M, 32b-qwen-distill-q8_0, 671b-fp16, 671b-q4_K_M, 671b-q8_0, 70b-llama-distill-fp16, 70b-llama-distill-q4_K_M, 70b-llama-distill-q8_0, 7b-qwen-distill-fp16, 7b-qwen-distill-q4_K_M, 7b-qwen-distill-q8_0, 8b-llama-distill-fp16, 8b-llama-distill-q4_K_M, 8b-llama-distill-q8_0

 

이 정도의 코드를 분석해 달라고 했을 때,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 net9.0-windows </TargetFramework> <OutputType> WinExe </OutputType> <UseWindowsForms> true </UseWindowsForms> <EnableWindowsTargeting> true </EnableWindowsTargeting> <Nullable> enable </Nullable> <ImplicitUsings> enable </ImplicitUsings> <!-- MSBuild 경로 설정 --> <CSharpCoreTargetsPath Condition="'$(CSharpCoreTargetsPath)' == ''">$(MSBuildExtensionsPath)\Microsoft\VisualStudio\v$(VisualStudioVersion)\CSharp\Microsoft.CSharp.Core.targets </CSharpCoreTargetsPath> <!-- Roslyn 컴파일러 설정 --> <UseRoslynCompilers> true </UseRoslynCompilers> <RoslynTargetsPath>$(MSBuildExtensionsPath)\Microsoft\VisualStudio\Managed </RoslynTargetsPath>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CSharp" Version="4.7.0"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 Version="4.10.0.20241109" /> <PackageReference Include="OpenCvSharp4.Windows" Version="4.10.0.20241108" /> </ItemGroup> <!-- MSBuild 타깃 재정의 --> <Import Project="$(MSBuildToolsPath)\Microsoft.CSharp.targets" Condition="Exists('$(MSBuildToolsPath)\Microsoft.CSharp.targets')" /> </Project>


실시간으로 답변이 쭉쭉 나온다는 것이다. 어차피 개발자라면 다 해보겠지만, 다양한 방법을 써서 한 나의 최적값은 32b였다. 개발자는 방법이야 알아서 가야 물고기만 받는 것이 아니다. 결국에 되는 것인지 안되는 것인지 알려주는 것이 사실 낚시법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 32b Full log는 다음 나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이미 브런치도 질문 때문에 상당히 지저분해진 상태라... 여기 LOG는 못 남긴다.


 

이제 슬슬, 또 주제와 맞지 않는 잡소리를 시작한다. 이 브런치는 사실 잡소리가 메인 요리다. 개발자 대상은 아니다. 개발자는 직접 다 해봐야 하는 사람이니까.

 

잡소리의 시작이긴 하지만, 3090/4090을 쓰며 아직 deepseek를 설치하지 않은 분께는 분명 괜찮은 이야기가 될 것이다.

 

이런 그래픽 카드가 집에 있다면, 70b 모델도 실시간 응답이 가능하다.

근거는 아래 영상에 있다. H100 서버를 클라우드에서 생성해서 직접 돌려 본 영상이다.

응답 속도를 볼 수 있다.

 

 

사실, H100으로는 게임을 못하니, 일반 가정집에는 없다고 본다. 이 글의 첫 부분에 있는 결론도 H100기준으로 낸 것이 아니다. 일반적 그래픽 카드로 이야기를 하겠다. RTX3090도 일반적이진 않지만...

70b를 사용하면, 이런 상태다. RTX3090에서는 14b가 적당하고 다른 작업을 안 한다고 하면 32b가 좋다. 맥 사용자는 하드디스크를 나누는 일이 거의 없다 보니 상관없다. 윈도 사용자를 위해 팁을 하나 주자면, 모델을 다운로드하면, C: 에 설치가 되니 용량 부족에 걱정이 된다. 시스템 환경 변수에

OLLAMA_MODELS

변수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모델이 저장될 곳을 지정하면, 된다. 그리고 blobs와 manifests 폴더를 복사하면 되는데 확인 방법은 위에 스크린숏을 다시 보면 된다. 내가 ollama list를 하며, C:\Users\[유저명]\. ollama의 모델이 제대로 옮겨졌는지 확인한 스크린숏이다. 그 이후에 받는 모델은 다음 위치에

제대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했고, 또 모델이 합쳐지는 것도 확인했었다. 그래서 비트토렌트로 인공지능 모델을 공유하자고 한 것이다.

 


내가 GO 언어를 잘한다면, 개인으로써도 좀 더 나아가겠지만, ollama는 산만한 개발자 모임에서나 분석 대상으로 해야 할 녀석이다.  토렌트는 사실 당나귀 시절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가 했는지가 중요하지 않다. 메타던, 구글이던, openAI 던... 이름이 중요치 않다는 것이다. 그것으로 모두가 즐겁게 기술을 즐기고 단지, 좋으면 되었다. 물론, 넷플릭스와 유튜브가 '불법 다운로드'라 부르던, 모든 콘텐츠를 다 삼키고 났으니 하는 말이다. 나는 그 당시에도 자료 공유를 위해 토렌트 프로토콜을 신봉했었는데 토렌트만 쓰면 범죄자 취급을 받아서 정말 싫었다. 국민학교 장래희망에 프로그래머가 쓰여 있었고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바뀐 적이 없었기에 연예인은 관심도 없거니와 한국 영화면 안 본다는 문화도 있었고, 노래 콘텐츠는 그 당시 서태지와 아이들처럼 비판하지 않고 사랑 노래만 부를 것이면, 오히려 경멸하는 마음이 컸었다. 본 덕스 앤 하모니, 투팍을 아는 시절을 사람이라면. 그러나 박진영이 딴따라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놓았고, 싸이가 월드 무대의 터를 닦고, BTS가 한국을 알렸으며, 수많은 연극배우가 영화의 연기 퀄리티를 높여 세계적 K-컬처를 만든 것을 보며 그때의 생각과 내 생각은 판이하게 다르다.

"역시 잡소리 중이라 온갖 시답잖은 말을 다 한다."
가 아니라 토렌트에 대한 지난 세대의 국민적 인식이 문제다.
유튜브나 넷플릭 시대의 사람은 토렌트가 뭔지 모른다.

 


 

자 다시 정신줄을 잡고, 70b 모델이 로드되면 RTX3090 GPU 메모리를 다 쓴다. RTX3090은 메모리가 24GB인데 최근 나온 5090은 8GB 더 많은 32GB이다. 24GB로는 단순히 '안녕' 하기도 힘들다. 3090 기준으로는 7b가 적당 해 보인다. 실시간으로 응답한다. 그러나 응답 품질을 보면,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래픽 카드는 메모리가 중요하다. 연구소, 기업에서나 쓰는 H100이 아닌 이상, 게임도 할 수 있는 RTX는 가정용으로 인키니 RTX 시리즈 메모리 용량 기준으로 말하고 있다.

 

 최근 5090이 새로 나왔는데, 한국에서는 계속 품귀다. 그래서 3090, 4090도 5090과 같은 가격으로 신품이 팔리고 있다. 중고로 100만 원에 이하에 사는 사람이 있다고 하는데 아마 코인 채굴에 써서 거의 망가지기 직전이거나 업자들이 가격 조정하려고 자가 거래를 해서 기록 남겨 두는 경우일 것이다. 컨디션 좋은 3090, 4090이 있고 이를 100 이하로 팔 생각이 있다면, 순식간에 주인을 찾게 될 것이다. 나에게 먼저 연락을 주면 좋겠다.

 


 

deepseek를 쓰려면 ollama를 설치하면 된다.

https://ollama.com/

난 작년(2024년) 1월부터 썼었던 것 같은데, 내 주변 맥 사용자들은 모두 올라마를 써서 모델을 돌렸고, 나중에는 메타의 라마 모델만 올라마에서 사용했다. 그런데 그 뒤에 메타에서 허깅페이스에 올라온 라마에 대해서 제한을 걸기 시작했다. 첨엔 뭔 동의를 하라더니 나중에는 자기네 사이트에서 받게 하고 그 뒤로는 한국 IP자체를 막아버렸다. 그래서 VPN을 통해서 받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https://brunch.co.kr/@hajunho/758

물론, 메타가 트래픽을 분산시키니 좋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직접 만들지 않고 승인되지 않은 사람이 유통하면, 나중에 법적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공개적으로 내가 라마를 배포해요라고 적지는 못한다. 지금은 라마 쓸 필요도 없고... 그래서 개발자 모임을 통해서 내가 직접 나서지 않고 서로가 지식을 나눌 수 있는 광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산만한 개발자 모임에서 어떤 모델이 더 나은지 토론하는 것이다.

https://brunch.co.kr/@hajunho/748

법적 책임은 무단으로 인터넷에서 우리 자료로 학습시킨 LLM개발사들이 있지만, 그러나 자력 배포는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필적 고의도 조심해야 한다. 메타는 공개 모델에 대해 성급하게 법 운운할 때가 아니었는데, 딥씨크가 나오고 메타는 얼마나 자존심이 상했을까? 산만한 개발자 모임에서 왜 사진 촬영 금지라고 했을까? 모임에 직접 오지 않으면 그 내용은 알 수가 없으며, 모임에 와보면 왜 법적으로 책임이 없다고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광고, 광고, 광고) 그리고 사실 굳이 메타 서버에 부담을 지우면 되는데 법을 어겨가며, 서로 번거롭게 살 필요도 없다. 그러나 메타는 결국 서버 부담 때문에 대한민국 IP를 막았다. 배포로 배정한 서버 능력이 안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래엔 분명, 이런 토렌트 유통망을 이용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할 수 있다. 광고 목적이라 돈 안 되는 서비스에 서버 비용을 막 쓸 수는 없으니. 그래서 적당한 시기에 개발자 모임에서 모델 유통망에 비즈니스 모델이 보이면, 누군가가 나서서 법인을 만들어도 된다. 심지어 deepseek 나오고 나서 라마는 인기도 없어졌다. 개발자 모임을 통해 누가 이득을 보던 난 좋다. 나는 내가 원하는 대로 내 분야의 세상이 돌아가면 그게 제일 재밌다.

 

믓튼, 난 가격이 곧 성능인 MAC도 500만 원 밑으로는 사지 않고(하드디스크 업그레이드만 350만 원이다), 항상 최고사양으로 써왔기에 맥에서 라마는 3.3까지도 잘 썼었다. 그런데 딥씨크 나오면서 상위 파라미터 개수 모델의 경우 제대로 돌지 않았다. 이제는 윈도용 라마도 있다 보니 보다 성능이 괜찮은 데스크톱에서 해보려고 해도 7b(billion, 십억)의 경우, 즉시 응답하는데 70b(700억 개 파라미터) 모델의 경우 HDD에서 모델 로드 시간 30분, 응답하는데 15분씩 걸려서 속이 답답했다.

 다음 한 줄 코드 분석을 시키면, LLM이 메모리에 올라온 이후부터도 15분은 넘게 걸린다.(내 체감상 3시간 걸린 것 같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여기까지 읽은 독자님은 사실 정확한 프롬프트(입력, 질문)와 결과(출력, 대답)가 보고 싶으실 테니


>>> 다음 코드 분석해 줘. <Project Sdk="Microsoft.NET.Sdk"> //이렇게 질문은 한 줄이다.

<think>

Alright, the user provided a line of code: `<Project Sdk="Microsoft.NET.Sdk">`. I need to

analyze this and explain what it means.

First, I know that `. csproj` files are used in. NET projects for configuration. The `Sdk`

attribute specifies which SDK to use.

"Microsoft.NET.Sdk" is the standard SDK for. NET applications. It includes settings and tools

needed for building, running, and packaging the project.

I should explain each part clearly: what `<Project>` tag does, the role of the `Sdk` attribute,

and why "Microsoft.NET.Sdk" is commonly used.

Maybe also mention that this line is typically at the top of the `. csproj` file and is

essential for. NET Core and. NET 5+ projects.

I should keep it simple and avoid jargon so the user can understand easily.

</think>

이 코드는. NET 프로젝트 파일(. csproj)에서 사용되는 코드 스니펫입니다. `<Project>` 태그는 프로젝트

의 루트 요소이며, `Sdk` 속성은 프로젝트가 사용할 SDK를 지정합니다.

**분석:**

- **`<Project>`**: 이 태그는. NET 프로젝트 파일의 루트 엘리먼트입니다. 모든 프로젝트 설정은 이 태

그 내에서 정의됩니다.

- **`Sdk="Microsoft.NET.Sdk"`**:

  - `Sdk` 속성은 프로젝트가 사용할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지정합니다.

  - `"Microsoft.NET.Sdk"`는. NET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SDK입니다. 이 SDK에는

프로젝트를 컴파일하고 실행하기 위한 기본 설정과 도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의미:**

이 코드는 현재 프로젝트가. NET Core 또는. NET 5 이상 버전에서 실행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Microsoft.NET.Sdk`를 사용하면. NET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태그는 일반적으로 `. csproj` 파일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프로젝트의 핵심 설정을 정의합니다.

>>>   <PropertyGroup>

<think>

`<PropertyGroup>`은. NET 프로젝트 파일(. csproj)에서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이 태그는 프로젝트 속성

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분석:**

- **`<PropertyGroup>`**:

  - 이 태그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속성을 그룹화하여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 `<PropertyGroup>` 내부에서 `<Property>` 요소를 통해 개별 속성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

```xml

<PropertyGroup>

  <OutputType> Exe </OutputType>

  <TargetFramework> net6.0 </TargetFramework>

  <Nullable> enable </Nullable>

</PropertyGroup>

```

- **`<OutputType>`**: 출력 파일의 유형을指定します. (예: `Exe` - 실행 파일, `Library` - 라이브러리)

- **`<TargetFramework>`**: 대상 프레임워크를 지정합니다. (예: `net6.0`, `netstandard2.0`)

- **`<Nullable>`**: nullable 참조 유형을 활성화합니다. (예: `enable` - 활성화, `disable` - 비활성화)

**의미:**

`<PropertyGroup>`는 프로젝트의 빌드 설정과 동작을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태그 내에서 정의한 속성값은 전체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칩니다

.

이 태그를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다양한 설정들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또한, 조건부 빌드와 같은 고급 기능에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     <TargetFramework> net9.0-windows </TargetFramework>

<think>

Okay, so the user provided this line: `<TargetFramework> net9.0-windows </TargetFramework>` and they want an analysis of it.

First, I need to explain what `<TargetFramework>` does in a. NET project file. It's used to specify which. NET version the project targets.

Breaking down `net9.0-windows`, "net9.0" clearly refers to. NET 9.0. The "-windows" part indicates it's targeting Windows specifically.

I should mention that this means the app will only run on Windows and won't be cross-platform. It also implies they might be using

Windows-specific APIs or features.

I should explain where this line is typically placed, probably within a `<PropertyGroup>` in the. csproj file.

Maybe give an example of what the full property

.

.

. 너무 길어서 줄인다.

이 속성은 프로젝트가 빌드될. NET Framework 버전 또는. NET Core 버전을...(어쩌고저쩌고)


모델의 생각 과정이 다 나오기 때문에 무척 길다. 라마와 달리 올라마에 deepseek 가 나온 지 일주일도(6일밖에) 안 되었는데도 15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는 이유가 이 생각 과정을 볼 수 있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라마에서 느껴보지 못하고 chatGPT o1에서나 느꼈던 COT(Chain of Thought)의 느낌을, 세세한 로그를 다 보면서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충격'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 같다. 심지어 이 모델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자신의 사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으니 말이다. 그러나 사용해 보면 1명이 써도 어마어마한 리소스를 먹는 이걸 어떻게 쓴단 말인가? 하게 되고. 마케팅, 홍보 이벤트 목적 클라우드 서버가 아니라면, 서버 비용은 1명 서비스에만 월 수백만 원이 나갈 것이다. 그래서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을 하는 입장에서의 생각은 차라리 클라우드 보다 데이터센터 건립이 싸게 먹히겠구나 하는 것이다. 비용 절감 효과가 있겠구나...

 

이런 잔차로, 다른 나라에서 수백조를 투자해서 데이터 센터를 건립한다고 하는데. 난 걱정이 된다. 학습에 비용을 확 낮춘 모델이 있다면, 요즘 별 관심 없는 추론에서 획기적인 칩이 나왔을 때가 걱정이다. 실컷 돈 들여서 nvidia 제품을 넣었는데. 갑자기 멋진 추론 칩이 나와버리면? 이미 사버린 하드웨어를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쌩 돈 날리는 것이다. 멋진 추론 칩은 당연히 전기료도 싸게 먹힐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돈 적게 쓴 한국이 나중에 이길 수도 있다. 아직은 모른다. 데이터가 무진장 많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우리나라는 기업 차원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다 뭉칠 것이기 때문이다.

오래전, 우리 철수 옹께서 이미 한국의 미래를 내다보셨다.

인터넷 소비 강국이기 때문에 각 가정집에 필요한 인공지능 모델이 빨리 보급될 것이고. 집집마다 있는 비서를 통해 진짜 IT 강국이 될 것이다. 길 가다가 만나면, 인공지능 모델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런 세상이 올 것이라 믿는다.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하나의 기업이 독점하지 못하는 곳이 바로 한국이 될 것이다.

 

NIW(National Interest Waiver) 신청은 미국 이민국(USCIS, U.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이 담당합니다. NIW는 취업 이민 2순위(EB-2) 카테고리 내에서 진행되며, 일반적인 취업 이민과 달리 노동 인증서(Labor Certification) 없이 신청자가 직접 자신의 자격을 입증하여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는 절차입니다. USCIS 웹사이트에서 관련 정보와 신청 절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s://uscode.house.gov/view.xhtml?req=child+pornography&f=treesort&fq=

 

8 USC 1101: Definitions

 

uscode.house.gov

 

미국 이민국(USCIS)의 중앙 오피스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U.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5900 Capital Gateway Drive  
Camp Springs, MD 20588-0009  

다만, 특정 서류 제출이나 방문을 원하실 경우에는 관련 지역 서비스 센터나 특정 안내에 따라야 할 수 있습니다. 서류 제출 시에는 해당 신청서에 명시된 주소로 보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정보는 USCIS 웹사이트에서 각 신청서별 가이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별 사무소 방문은 일반적으로 예약이 필요하니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이민국(USCIS)의 공식 웹사이트 주소는 [http://www.uscis.gov](https://www.uscis.gov)입니다. 이 웹사이트에서 이민 절차, 신청서, 수수료, 및 기타 유용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양식을 다운로드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서를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고학력 이민으로 일반적으로 EB-2 카테고리에 해당하며, EB-2에는 National Interest Waiver(NIW)도 포함됩니다. EB-2 이민 청원서(Form I-140)의 접수 수수료는 $700입니다(2023년 기준). 이후 영주권 신청 단계인 조정 신청서(Form I-485)나 국외에서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문 검사를 비롯한 추가적인 수수료가 따를 수도 있으므로, 최신 정보는 [USCIS의 수수료 페이지](https://www.uscis.gov/forms/filing-fees)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수료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청 전에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www.facebook.com/uscis?ref=embed_page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

Facebook에서 게시물, 사진 등을 확인하세요.

www.facebook.com

 

H-1B 비자는 미국에서 전문 직종에 종사하고자 하는 외국인 노동자에게 발급되는 비자입니다. 이 비자는 일반적으로 기술 직종, 엔지니어링, IT, 금융, 의료 및 기타 전문 분야에서 일하기 위한 것입니다. H-1B 비자는 미국 고용주가 특정 외국인을 고용하기 위해 스폰서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고용주는 해당 직무가 전문 직종에 해당하고 외국인의 교육 및 경력이 그 직무를 수행하는 데 적합함을 입증해야 합니다.

H-1B 비자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폰서 필요**: 미국의 고용주가 비자를 스폰서해야 합니다. 즉, 구직자가 직접 신청할 수 있는 비자는 아닙니다.

2. **전문 직종**: 비자는 주로 특수한 학문적 또는 전문 기술이 필요한 직종에 국한됩니다. 대개 학사 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됩니다.

3. **기간**: 처음에는 최장 3년까지 유효하며, 최대 6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추가 연장은 일부 조건을 충족해야만 가능합니다.

4. **쿼터**: 매년 발급 가능한 H-1B 비자의 수에는 한도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매해 초과 신청됩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회계연도의 시작인 10월 1일에 맞춰 4월 초에 신청이 시작됩니다.

5. **가족**: H-1B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와 21세 미만 미혼 자녀는 H-4 비자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국에 거주할 수 있습니다. 일부 H-4 비자 소지자는 취업 허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H-1B 비자는 미국 경제와 고용 시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한정된 수와 엄격한 규제 때문에 많은 논쟁과 검토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매년 많은 사람들이 이 비자를 받기 위해 경쟁합니다.

 

https://www.gov.kr/search?srhQuery=%EC%83%9D%ED%99%9C%EA%B8%B0%EB%A1%9D%EB%B6%80

 

통합검색 | 정부24

수수료 면제 또는 감면민원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수수료 면제또는 감면민원은 총 47종이며 "주민등록표등(초)본, 자동차등록원부 등(초)본 발급/열람, 건축물대장 등(초)본 발급/열람, 출입국

www.gov.kr

 

https://kr.wegreened.com/eb2-niw-national-interest-waiver-reference-letter4?fbclid=IwY2xjawF8qCZleHRuA2FlbQIxMAABHf2DOhEcN5W47jkZlcpoekmPr2H4zlopiPVlbwW6eFX_-QbGab2E2bUv2Q_aem_vulYON1oJBn7nYXvExDUsw

 

North America Immigration Law Group - specialized in NIW (National Interest Waiver) and EB1 Greencard, exceeding 600 EB1/NIW App

Chen Immigration Law Associates (Victoria Chen, J.D.) helps you obtain green card through NIW (national interest waivers), EB1-A, EB1-B, EB1-C, PERM, and labor certification.(陳品瑞律師)

kr.wegreened.com

 

https://www.niwengineer.com/74?fbclid=IwY2xjawF8qDVleHRuA2FlbQIxMAABHXZ4pje8rd6e6cQKLgD8Aa9VjUVNrYmn4A27ItRh4auwTCjpXukNzJ3hNQ_aem_dkOSE8crMe3kZULHJ9B_uA

 

NIW 추천서 가이드라인

NIW engineer / NIWengineer / NIW 추천서 / NIW 추천서 가이드라인 / NIW 추천서 쓰는 법 / 미국 NIW 영주권 전문 / NIW 전문 / 이공계 전문 / NIW 이공계전문 / NIW 이공계열 / NIW 고학력자 / 고학력자 이민 전문 /

www.niwengineer.com

 

이민 청원서, 즉 Form I-140의 처리 시간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청이 접수된 서비스 센터와 해당 카테고리에 따라 처리 기간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보통 EB-2 카테고리의 경우, 수개월에서 1년 이상이 걸릴 수 있습니다. 

USCIS 웹사이트의 [처리 시간 페이지](https://egov.uscis.gov/processing-times/)에서 각 서비스 센터별로 구체적인 처리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기서 담당 센터를 선택하고, 해당 양식과 범주에 대한 최신 처리 기간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 프로세싱 옵션을 이용하게 되면 추가 수수료를 지불 후, 15일 이내에 처리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EB-2 청원서가 프리미엄 프로세싱 대상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프리미엄 프로세싱 서비스의 수수료는 $2,500입니다(2023년 기준). 이 서비스는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빠른 처리를 원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으며, USCIS는 요청을 받은 후 15일 이내에 결정 또는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제공하게 됩니다.

프리미엄 프로세싱이 적용 가능한 경우는 특정한 이민 청원서에 국한되므로, 신청 전에 반드시 해당 경우에 이 옵션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항상 최신 정보를 USCIS 웹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수수료나 절차가 업데이트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2023년 기준) National Interest Waiver(NIW) 신청서는 프리미엄 프로세싱 옵션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NIW는 EB-2(고급 학위 소지자 및 예외적인 능력)의 하위 카테고리로, 보통 I-140 청원서로 신청할 수 있지만 프리미엄 프로세싱이 적용되는 EB-2 케이스와 달리 NIW는 이 옵션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USCIS 웹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거나 이민 전문 변호사와 상담하여 가장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NIW를 포함한 영주권 신청 절차는 변호사의 도움이 없이도 진행할 수 있지만, 과정이 복잡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변호사 없이 진행하실 경우 몇 가지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보 수집:** USCIS 웹사이트에서 NIW 신청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 사항과 절차를 철저히 이해하고 준비하세요. 

2. **서류 준비:** 모든 필수 서류를 정확하게 준비합니다. 여기에는 학위 증명서, 경력 증명서, 추천서, 연구나 업적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등이 포함됩니다.

3. **USCIS 양식 작성:** I-140 청원서와 관련된 다른 양식들을 정확히 작성해야 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불충분한 정보는 처리 지연이나 거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수수료 지불:** 해당 수수료를 확인하고 정확하게 지불합니다.

5. **증빙 자료:** 자신의 업적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함을 증명하는 강력한 증빙 자료를 준비하고 제출합니다. 

6. **각 단계 추적:** 청원 후 USCIS에서 요구하는 추가 서류 요청이나 인터뷰 일정 등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변호사 없이 신청할 수 있지만, 신청서와 첨부 서류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제든지 문제가 생기거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이민 전문 변호사를 상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미국 영주권을 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족 초청 이민(Family-Based Immigration):**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인 가족이 초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직계 가족(배우자, 부모, 미혼 자녀 등)에 우선권이 주어집니다.

2. **취업 이민(Employment-Based Immigration):** 고용주가 스폰서가 되어 주는 경우이며, EB-1, EB-2, EB-3 등의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NIW(National Interest Waiver)도 이 범주에 포함되며, 고용주 없이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투자 이민(EB-5):** 일정 금액의 자본을 미국 경제에 투자하고, 10명 이상의 풀타임 미국 근로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우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4. **추첨 영주권(Diversity Visa Lottery):** 한국은 추첨 영주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한국 시민은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기타:** 특별한 자격을 갖춘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미국 내에서 정치적 망명 등을 통한 방법도 있습니다.

미국 영주권 신청 절차는 복잡할 수 있으며, 필요한 서류와 과정 역시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방법의 세부 요건을 확인하고 자신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변호사를 통해 상세한 상담을 받거나, USCIS와 미국 국무부의 웹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HJH IT Lo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OST 2024  (0) 2024.10.19
자라섬 재즈페스티벌  (0) 2024.10.19
부산 출장 후기  (0) 2024.10.15
IR 피칭은 5분의 승부인 듯  (0) 2024.10.15
스샷 라이프 로그  (0) 2024.10.15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