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후임 2명과 함께 오버워치를 하러 갔었다.
10판 중 6판을 이기고 1판 비기고 3판 졌다.
피지컬(게임 능력)이 좋으면 항상 승리하겠지만, 팀웍이 더 중요하다.
얼마 전 그랜드 마스터가 브론즈에서 아무리 캐리를 해도
승률은 반반이라고 했듯이
개개인의 능력보다는 팀웍이 중요하다.
오버워치 하는 사람이면 2-2-2 조합을 맞춘다는 말을 잘 알것이다.
팀웍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에 모르는 사람들과 해도 크게 성적이 올라간다거나
떨어지지 않는 구간에 머물게 된다.
그 때 이기고 싶으면 긍정적인 사람을 만나야 한다.
~형, ~형 이라 부르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파하는 리더나 나오면
조합은 맞춰지고 빡겜(열심히 게임)을 하게 된다.
뭐, 그렇다고 개인과 팀의 조화.
--0-0--00-0-0-0--=--=-=--=-=-=-==-=--=-=-=-=-
const 붙여주면 된다.
캐스팅 해야할 것은 캐스팅 해주면 된다.
Swift 하면서 느낀점은 C와 같다는 것이다.
우선 연산자는 거의 같다.
&&도, 당연히 C는 시스템 단이니 비트 연산자와 논리연산자를 확실히 구분해서
써야 한다.
타입 캐스팅은
(char)something이었다면
String(something)
함수 만들 때는 func를 붙인다. c언어는 안 붙여도 되지.
func something() {}
void 처럼 반환형을 확실히 명시하는 편이 더 좋긴하다.
컬리 브라켓도 모두 같고. 컬리 브라켓 안의 변수 스코프도 모두 동일하다.
캐스팅도 함수로 취급해서 좋고, 함수 쓰는 것도 ()에 파라미터 적는 것과 같다.
Int(arc4random_uniform(12))
배열도 var a = [" ", " ", ...] 로 만드니 [] 친숙.
let은 const 랑 같은 뜻.
var로 자료형 구분이 없는 것 같지만 결국엔 명시적으로 해 주는게 더 낫다는 생각이 든다.
타입 캐스팅이 완전 자동으로 되지 않는 이상 명시적으로 적지 않는 자료형은 별 의미 없다는 생각이다.
사실 새로운 언어를 할 때마다 이전 언어가 잊혀진다.
한국에 오래산 미국 사람이 영어를 까먹는 것도 봤는데 마찬가지지 않을까.
어느 순간에는 언어의 아름다움에 깊이 빠져야 하는데 그러질 못할까봐 문제다.
위인들 중에는 많겠지만, 영어와 한국어 둘 다 잘하는 사람 중에 시를 좋아하는 사람은 못 만나봤다.
언어를 아름답게 쓰는 사람도.
한국어만 잘하는 사람들이 언어를 아름답게 쓰는 경우는 있었는데 정말 수준있게 보였다.
클라스가 다르다는 말은 그런 사람을 만났을 때 쓰는 것인 것 같다.
=-=-=-=--=-==-0=-0=-0-=0-=0=-0=-0=-0-=0=-0-=0-=0=-0=-0=-0=
최근댓글